본문 바로가기
한방 건강

역류성 식도염 증상 및 자가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by 인연이란 2022. 5. 31.
반응형

오늘은 저도 한때 역류성 식도염으로 인해 속이 항상 안 좋고, 음식을 먹고 나서 항상 속이 더부룩하고 종종 음식이 역류하는 증상으로 인해 힘들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저는 위염과 역류성 식도염으로 병원에서 약도 먹고 했었는데 그것보다 확실히 식습관을 바꾸고 나서 정말 많이 좋아졌었어요.

역류성 식도염 증상은 무엇이고, 자가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속쓰림 식도 역류

 

역류성 식도염이란?

위장의 내용물이 식도로 거꾸로 올라와서 발생하는 위 식도 역류 질환의 일부입니다. 강한 산성을 띤 위 산이 위장 속에 있으면 문제가 없지만, 식도로 거꾸로 올라오면 식도는 강한 산성을 가진 위산을 견딜 수 없어 그 증상이 나타납니다.

역류성 식도염 일 때 나타나는 증상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속 쓰림과 위산의 역류, 소화불량 등이지만 그 외에도 만성 기침, 쉰 목소리, 목의 이물감, 흉통, 기관지 천식 등과 같은 식도 외 증상들도 흔히 발생하므로, 올바른 진단을 받아보시는 게 좋습니다.

 

1. 항상 속이 쓰리다.

2. 트림을 자주 하고 신물이 넘어온다.

3. 속이 더부룩하고 소화가 안 된다.

4. 기침을 자주 하고 쉰 목소리가 난다.

5. 가슴이 답답하고 통증이 있다.

역류성 식도염에 해로운 습관은?

1. 자극적인 음식을 즐겨 먹고 급하게 빨리 먹는다.

2. 커피, 초콜릿, 탄산음료를 자주 먹고 마신다.

3.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음주와 흡연을 한다.

4. 늦은 저녁, 술과 기름진 음식으로 과식을 종종 한다.

5. 식후 3시간 전에 누워있거나 잠자리에 든다.

 

반응형

 

역류성 식도염 자가치료 방법, 예방하는 식사 요법

1. 과식을 피하고 소량씩 여러 번 규칙적으로 섭취한다.

2. 식후 3시간 정도는 눕지 않는다.

3. 취침 최소 2시간 전에는 음식을 삼간다.

4. 과도하게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과 지방 섭취를 줄인다.

5. 하부식도 괄약근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술, 초콜릿, 프림 커피, 가스 형성 식품(탄산음료, 과자,

튀김, 빵, 밀가루 음식 등)의 섭취를 줄인다.

6. 직접적으로 식도 점막을 자극하는 신 과일주스, 토마토, 산성 음료인 콜라 등 탄산음료 섭취를 줄인다.

7. 섬유질(채소) 식사는 변비를 완화하고 배변 긴장을 줄여 상부 위장관으로의 압력을 줄여주므로 권장한다.

8.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경우 체중을 감소하여 정상체중(표준체중)을 유지한다.

9. 취침 시 침대 머리 부분을 6-8인치 정도 올려 식도의 방어 능을 증가시킨다.

10. 복압을 증가시키지 않도록 꽉 끼는 옷, 벨트의 착용을 안 하는 것이 좋다.

11. 일상생활 중 몸을 숙이는 행동을 피하는 것이 좋다.

12. 금연한다.

13. 스트레스와 운동부족, 과로, 수면부족은 증세를 더욱 악화시키니 충분한 휴식과 운동을 추천한다.

14. 7시간 이상의 숙면과 식사 후 가벼운 산책(걷기 운동)은 위장과 식도의 기능을 편안하게 한다.

(음식 섭취 후 2-3시간 후 집에서 간단하게 스텝퍼를 30분 정도 타면서 운동하는 것도 좋다.)

 

일단 저 같은 경우 다이어트를 시작하면서 피부도 좋아지고 몸이 건강해지면서 역류성 식도염도 같이 저절로 좋아졌습니다. 제가 일단 첫 번째로 한 것은 식단을 먼저 다 바꿨어요. 아침 겸 점심으로 그릭 요구르트 80g 정도, 단호박 100g, 두부(모닝두부) 혹은 계란 프라이 2개 정도로 먹었습니다. 그리고 2-3시간 정도 지나면 다시 배가 고파요. 그럴 때는 간식으로 비건 빵 1개 아몬드브리즐 프로틴 1개 이런 식으로 간식도 챙겼습니다. 저녁은 잡곡밥 반공기, 샐러드 한팩, 고등어 혹은 닭가슴살 등 저녁 먹고 나서 2-3시간 뒤에 스트레칭 10분 근력운동 20분 스텝퍼 또는 자전거 혹은 근력 유산소 운동으로 30분 마무리 스트레칭 10분 이렇게 일주일에 2-3번 정도 운동했어요.

 

물론 물도 하루에 1.5L씩 챙겨서 마시려고 노력도 많이 했습니다. 처음엔 다이어트 목적으로 시작하다가 피부도 점점 좋아지고 몸매도 이뻐지면서 식단과 운동 매력에 빠져버렸어요.

 

아 그리고 제일 중요한 건 진짜 먹고 나서 바로 눕거나 자는 건 정말 안 좋은 것 같아요. 특히 저는 먹고 나면 너무 졸음이 왔습니다. 먹고 나서 졸음이 오는 이유는 음식을 소화하기 위해 에너지가 장 이나 위쪽으로 몰려서 뇌에서 에너지 공급이 줄어들면서 졸음이 온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때는 몸을 움직이면서 최대한 졸음을 참아야 합니다. 특히 직장 다니시는 분들은 점심 먹고 나서 졸음을 참는 거 진짜 너무 힘들잖아요. 모두 나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위해 식단과 운동을 꾸준히 하면서 습관으로 만들어 보세요.

 

 

 

 

반응형

댓글